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근로기준법2

[HR] 2025년 개정 근로기준법 - 육아휴직 기준 및 신청방법 👶 2025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육아휴직 기준 및 신청 방법2025년부터 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육아휴직 제도가 크게 개선됩니다. 이번 글에서는 변경된 육아휴직의 기준과 신청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 📌 육아휴직 기간 및 조건기존에는 부모 각각 최대 1년의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, 2025년부터는 다음과 같은 경우 육아휴직 기간이 최대 1년 6개월로 연장됩니다.부모 모두 동일한 자녀에 대해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한부모 가정인 경우장애아동을 둔 부모인 경우따라서 맞벌이 부부는 각각 1년 6개월씩, 총 3년의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 💰 육아휴직 급여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인상되며, 사후 지급금 제도가 폐지됩니다.1~3개월: 월 통상임.. 2025. 2. 8.
회사의 근로자의 직무 전환은 어디까지 가능할까? 1. 개요기업의 인사권 행사 중 하나로 근로자의 직무 전환(전직, 전보, 전근 등)이 이루어질 수 있다. 그러나 근로계약에 명시된 직무 내용과 근무지가 변경될 경우,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한지, 정당한 절차가 준수되었는지가 쟁점이 된다.2. 직무 전환(전직)의 개념과 법적 근거정의: 직무 전환(전직)은 사용자의 인사권에 의해 근로자의 직무나 근무지를 변경하는 조치를 의미하며, 전보(동일 회사 내 직무 변경), 전근(근무지 변경) 등이 포함된다.법적 근거:근로계약서에 특정 직무와 근무지가 명시된 경우, 근로자의 동의 없이 변경이 어렵다.근로계약서에 "회사 사정에 따라 업무 또는 근무지를 변경할 수 있다"는 조항이 포함된 경우,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사용자의 인사권이 인정될 수 있다.대법원은 전직의 정당성을 .. 2025. 2. 6.
반응형